“집값은 몰라도 대출은 막힌다” – 청년 고소득자의 역설, 앞으로 집 사기 정말 어려울까?
유동성, 대출규제, 그리고 청년들의 주거 현실
앞으로 집을 사기 더 쉬워질까요, 아니면 더 어려워질까요? 부동산 시장의 미래를 예측하는 건 언제나 논쟁거리지만, 하나만큼은 확실합니다. 바로 대출 규제는 앞으로 더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특히 대기업에 다니며 맞벌이를 하고 있는 3040 청년층, 이들이 앞으로 더 큰 벽에 부딪히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정부의 유동성 정책, 대출 규제의 방향, 그리고 청년 고소득층이 겪고 있는 구조적 모순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대출은 누가 규제되고 누가 자유로운가
현재 한국은 유동성 풀기 – 대출 규제하기 – 자산 시장 억제라는 일관된 사이클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규제가 항상 똑같은 집단을 겨냥한다는 점입니다.
바로 고소득 청년층입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에 다니며 연봉 1억을 받는 맞벌이 부부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들은 한 달에 약 700만 원의 실수령액을 받으며 연간 5000만 원을 저축할 수 있다고 해도, 1년에 집값은 1억 넘게 오릅니다.
즉, 저축 속도보다 집값 상승 속도가 빠른 것이 문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출이 절실하지만, 정부는 고소득자라는 이유로 정책자금 혜택을 주지 않고, 집값이 높다는 이유로 대출 한도를 제한합니다.
결국 ‘집을 살 수 있었던’ 청년 고소득자들은 집을 살 수 없게 되는 역설적인 구조가 형성됩니다.
2. 정부의 유동성 정책은 왜 반복되는가
경기가 어려울 때마다 정부는 유동성을 풀어 경제를 살리려 합니다. 이는 여야를 불문하고 반복되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이 돈은 자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고, 부동산 가격 상승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때 정부는 “집값을 잡겠다”며 다시 대출을 조이기 시작합니다. 이 구조가 반복되면서 고소득 청년층은 매번 타겟이 되어 피해를 입게 됩니다.
3. 공급 아닌 수요만 조이는 한국 부동산 정책
선진국들은 집값이 오르면 공급을 풀어 조절합니다.
예컨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건설사에게 인허가를 쉽게 주고, 용적률을 완화하여 공급량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려 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어떤가요?
재건축, 재개발은 규제로 막히고, 임대 아파트를 강제하는 바람에 공급 자체가 무산됩니다. 결국 정부는 공급이 안 되니 다시 수요를 조이게 되고, 고소득자들의 대출만 제한됩니다.
4.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대기업 맞벌이
한창 돈을 벌고, 아이를 낳고, 안정적인 삶을 계획하는 30~40대 청년 맞벌이 부부들이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입니다.
- 복지혜택 → 소득 기준에서 탈락
- 정책자금 → 소득 높아서 탈락
- 대출 한도 → 집값 높아서 탈락
이들은 그 어떤 혜택도 받지 못하고, 오히려 “너희는 여유 있으니 참아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집을 못 사는 상황이 되는 것이죠.
실제로 2020년대 초반, 많은 청년 맞벌이들이 “왜 우리에게만 대출을 제한하냐”며 분노했습니다.
5. 해결책은 무엇인가?
답은 명확합니다. 공급을 늘려야 합니다.
주거의 “질”까지 고려한 공급을 확보해야 합니다. 수도권, 특히 서울에 고품질 아파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집값이 오르는 것이며, 이 수요는 지방 빈집 통계로 대체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공급을 늘리려면 지자체와 정부의 복잡한 행정적, 정치적 구조를 해결해야 하고, 국민들의 이해도 필요합니다.
단기적 대출규제로만 대응한다면 매번 같은 피해자가 반복될 뿐입니다.
3줄 요약 & 느낀 점
- 앞으로 집 사기는 더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고소득 청년층은 대출 규제의 주요 타겟이 된다.
- 정부는 유동성을 풀면서도 집값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대출을 조이지만, 공급 확대는 여전히 미흡하다.
- 결국 반복되는 대출 규제의 피해자는 동일한 계층이며, 근본적 해결책은 공급 확충이다.
느낀점
빠르게 성장한 사회만큼, 한국의 부동산 정책도 성숙하지 못한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누구나 열심히 일하고 집 한 채 마련하는 것이 상식이 되는 세상을 기대해봅니다.
🎥 영상을 보시면서 다시 본문을 훑어보면 쏙쏙 정리됩니다!
https://youtu.be/TU6q499uqA0?si=iC8xDpdYnN9-1xwB
📘 English Summary
The current housing market in South Korea is facing increasing challenges, especially for young high-income earners. Despite earning well and saving diligently, they are often unable to buy a home due to strict loan regulations and rising property prices. The government’s monetary policy frequently injects liquidity into the market to stimulate the economy, which inadvertently causes real estate prices to surge. However, instead of increasing housing supply, the response is often tighter lending rules. This disproportionately affects those who earn too much to qualify for public support, yet not enough to buy homes outright. The only sustainable solution is to increase housing supply, yet Korean urban policies make redevelopment extremely difficult. Until this changes, high-income young professionals will continue to bear the brunt of a broken syste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억 아파트의 진실, 집이 인생을 바꾼다?! 초양극화 속 생존법 (0) | 2025.06.04 |
---|---|
“가계대출 3배 폭증”…토지거래 허가제 해제 후폭풍 시작됐다 (1) | 2025.05.29 |
청약통장 더 안 넣어도 된다?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진실 (3) | 2025.05.22 |
지금 집 사야 할까? 안 사야 할까? 9억~13억대 실거래 현장 분석! (1) | 2025.05.12 |
똑같이 대출받고도 1억 덜 갚는다? 상환 방식에 달려있다고?? (0) | 2025.05.02 |